비행기 배터리 규정!
비행기에서 배터리를 반입할 때는 국제 항공 규정을 따라야 해요. 대부분의 항공사는 **국제민간항공기구(ICAO)와 국제항공운송협회(IATA)**의 규정을 따르는데, 기본적인 규칙을 쉽게 정리해볼게요.
1️⃣ 기본 규칙: 배터리 종류에 따른 반입 가능 여부
비행기에서 배터리는 **위탁 수하물(짐칸에 보내는 짐)**과 **기내 반입(탑승 시 가지고 가는 짐)**으로 구분해서 반입 규정이 달라요.
🔋 리튬이온 배터리 (노트북, 스마트폰, 보조 배터리 등)
배터리 용량기내 반입위탁 수하물
배터리 용량 | 기내 반입 | 위탁 수하물 |
100Wh 이하 | ✅ 허용 (개수 제한 없음) | ❌ 금지 |
100Wh ~ 160Wh | ✅ 허용 (최대 2개까지) | ❌ 금지 |
160Wh 초과 | ❌ 금지 | ❌ 금지 |
- 💡 100Wh(와트시) 이하: 스마트폰, 태블릿, 대부분의 보조 배터리(10,000~20,000mAh) → 문제 없이 기내 반입 가능
- ⚠️ 100Wh~160Wh: 고용량 보조 배터리, 일부 카메라 배터리 → 최대 2개까지 허용
- 🚫 160Wh 초과: 대형 드론 배터리, 전동휠, 일부 의료 장비 배터리 → 기내 반입 및 위탁 수하물 모두 금지
🛠 Wh 계산 방법:
배터리에 적힌 mAh(밀리암페어시) 값을 보고 계산할 수 있어요.
Wh = (mAh × V) ÷ 1000
예를 들어, 10,000mAh / 5V 보조 배터리는 (10,000 × 5) ÷ 1000 = 50Wh → 기내 반입 가능! ✅
🔋 리튬 금속 배터리 (일부 카메라 배터리, 의료기기 등)
- 리튬 함량 2g 이하 → 기내 반입 가능
- 리튬 함량 2g 초과 → 사전 승인 필요 또는 반입 불가
🔋 일반 건전지 (AA, AAA, C, D형)
- 기내 반입 O / 위탁 수하물 O
- 사용하지 않는 건전지는 쇼트(합선) 방지를 위해 개별 포장 필수
🔋 배터리가 포함된 전자기기 (노트북, 카메라, 전동칫솔 등)
- 기내 반입 O / 위탁 수하물 O
- 단, 전원이 켜지지 않도록 조치해야 하며, 일부 항공사는 위탁 수하물에서 배터리를 분리해야 할 수도 있음
2️⃣ 반입 시 주의할 점
🚨 배터리는 위탁 수하물(짐칸)에 넣으면 안 돼요!
- 배터리가 손상되거나 쇼트(합선)되면 화재 위험이 있어서 기내 반입 필수
- 만약 전자기기를 위탁 수하물로 보낸다면, 배터리를 반드시 분리하거나 전원이 꺼진 상태여야 함
📦 배터리는 안전하게 포장해야 해요!
- 보조 배터리는 개별 포장 (비닐, 케이스, 절연테이프 사용 가능)
- 배터리 단자가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 (금속 물체와 닿으면 쇼트될 수 있음)
🔋 배터리 100Wh 초과 제품은 항공사에 미리 문의하기
- 고용량 배터리를 가져가야 한다면, 출발 전에 항공사 고객센터에 문의하는 게 가장 안전해요.
3️⃣ 비행기에서 보조 배터리 충전 가능할까?
- 대부분의 항공사에서는 기내에서 보조 배터리로 충전 가능하지만, 비행 중 보조 배터리를 사용해 직접 전자기기를 충전하는 행위는 일부 항공사에서 금지할 수도 있어요.
- 기내 좌석에 USB 충전 포트가 있다면, 그걸 사용하는 게 가장 안전해요.
4️⃣ 비행기에서 금지되는 배터리
🚫 다음과 같은 배터리는 비행기에 반입할 수 없어요!
❌ 160Wh 초과 리튬이온 배터리 (초대형 드론 배터리, 전동휠, 전기자전거 배터리 등)
❌ 손상된 배터리 (부풀어오른 배터리 포함)
❌ 포장되지 않은 벌크 배터리 (합선 가능성이 있는 상태)
❌ 배터리가 포함된 전자담배, 전동 스쿠터 등 일부 제품
✈️ 정리: 안전하게 배터리 반입하는 법
✅ 보조 배터리는 반드시 기내 반입! (위탁 수하물 X)
✅ 100Wh 이하 배터리는 개수 제한 없이 반입 가능
✅ 100Wh~160Wh는 최대 2개까지만 가능
✅ 160Wh 초과 배터리는 반입 금지!
✅ 배터리는 개별 포장하고, 단자가 금속과 닿지 않게 조심
✅ 출발 전 항공사 규정 확인 필수!
비행기 탈 때 배터리 규정을 잘 지키면 안전하고 편하게 여행할 수 있어요!!
'일상 이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비행기 배터리 화재 , 배터리 화재 예방위한 주의사항 (0) | 2025.01.30 |
---|